예약
Open greetings
Open greetings 축하 메시지

[편집자주] 국

Page Info

작성자 oreo Date 25-06-07 15:33

내용

[편집자주] 국 [편집자주] 국민 2명 중 1명은 문화예술을 즐길 정도로(2023년 기준) 보편화됐지만 어렵고 지루하다는 인식은 여전합니다. 누구든 즐길 수 있도록 쉬운 미술과 음악, 국가유산 전시를 소개합니다. 이번 연휴, 문화 체험 어떠세요? 지난 2월14일 오전 서울 용산구 국립중앙박물관에서 ‘선사 고대관 개편’ 언론공개회 모습. / 사진 = 뉴시스 /사진=김명년 국가유산은 교과서 속에 있다는 이미지가 뚜렷하다. 문화재라는 표현이 더 익숙한 경우도 많다. 지난해 국가유산을 총괄하는 기관의 이름이 문화재청에서 국가유산청으로 바뀐 사실도 모르는 사람이 많을 정도다. 국가유산 전시를 보자는 제안은 가족 중 박물관에 관심이 많거나 학교 체험학습 정도가 아니면 어려운 일로 여겨졌다. 하지만 어느새 국가유산은 '힙함'(유행에 민감하다)의 대명사가 됐다. 1020세대에서도 국가유산 체험이 SNS(사회관계망서비스)를 통해 유행하면서 '인증샷' 게시나 관련 상품 구입이 잇따른다. 가족 단위 관람객 외에 연인이나 친구 사이의 관람객도 급증했다. 국립중앙박물관의 지난해 관람객 숫자는 약 379만여명으로 세계 전체에서도 8위 수준이다. 가장 힙한 것은 뮷즈(박물관과 굿즈의 합성어)다. 전통을 살린 매력이 높게 평가받으면서 웃돈을 주고 구매할 정도로 인기가 높다. 가격이 다소 비싸지만 뮷즈를 통해 국가유산에 흥미를 갖는 것도 추천할 만하다. 국립중앙박물관의 부뚜막 인센스(향) 세트, 청자황금개구리 머그잔, 취객선비 막걸리잔 등 제품은 잇따라 매진됐으며 국가유산청의 특별 굿즈 '궁패스 노리개'는 오픈 30분 만에 모두 팔려나갔다. /그래픽 = 윤선정 디자인기자 첫 관람이라면 SNS나 온라인 전시를 먼저 관람해 보는 방법도 좋다. 국가유산은 다른 전시와 다르게 배경이나 역사적 의미가 감상 방법에 큰 영향을 주기 때문에 간단한 공부가 도움을 줄 수 있다. 서울의 한 박물관 관계자는 "보통 유산을 주제로 한 전시는 역사적 흐름에 따라 구성돼 있는 경우가 많아 역사적 배경이나 관련 지식을 알고 있으면 더 흥미롭게 볼 수 있다"고 설명했다. 비용 부담도 없다. 대부분의 박물관은 5000원 안팎의 저렴한 가격을 지불하면 입장할 수 있다. 기획전을 제외하면 입장료를 받지 않는 곳도조기 대선으로 새 정부가 출범했다. 인수위원회 없이 바로 임기를 시작하는 탓에 지난 정부의 사업이든, 새로 시작하는 사업이든 검토할 시간과 역량이 충분치 않다. 그만큼 임기 초기 대통령의 의지와 판단이 중요할 것이다. 지난 5월30일 현대건설이 계약에서 철수를 발표하면서 논란이 재개된 가덕도신공항 문제도 그렇다.이 사업이 이대로 진행돼야 하는지 다시 많은 의문이 불거진다. 확실한 것들부터 짚어보자. 첫째, 2029년 개항 필요성은 없어졌다. 사업의 이유로 24시간 운영 관문 공항 기능, 동남권 지역발전 등 여러 이유가 제시됐지만 2030년 부산 엑스포 유치가 가장 큰 명분이었다. 그러나 유치는 불발됐고 서둘러 사업을 진행해야 할 이유도 사라졌다.둘째, 이 사업의 기대 효과도 여전히 의문스럽다. 사업안을 장밋빛으로 보이게 했던 생산 유발 효과 88조원, 취업 유발 효과 53만명 등은 모든 전망이 맞아떨어졌을 때 실현되는 가상의 숫자다. 그리고 이 공항이 부산과 경남 지역 재생의 만능열쇠가 된다는 보장도 없다. 반면에 최소 10조5000억원의 공사비, 여러 지표종 등 생태계 상실, 사회적 갈등은 매우 분명한 현실이다.셋째, 안전성에 대한 우려가 더욱 커졌다. 조감도 단계에서 두드러지지 않았던 수심과 지반의 부등침하, 태풍과 파도 문제가 기술 검토 과정에서 만만치 않은 것으로 드러났다. 현대건설은 6개월 동안 전문인력이 참여해 설계를 검토한 결과 착공 후 84개월(7년) 내 준공은 불가능하다는 입장을 밝혔다. 그리고 최소한 9년 공사, 2035년으로 준공 연기, 1조원 이상의 사업비 증액이 필요하다고 본다. 건설 사업 당사자의 이러한 입장은 심각하게 받아들여져야 하며, 안전과 맞바꾸어도 좋은 정치적 이익이나 경제적 효과는 없다.넷째, 신공항특별법이 사업 계속을 불가피하게 한다는 주장은 잘못이다. 이 사업이 2021년 가덕도신공항 건설 특별법 의결을 거쳐 2023년 기본계획으로 고시된 국책 사업인 것은 맞지만, 그렇다고 건설을 안 하면 불법인 것은 아니다. 특별법은 신공항의 [편집자주] 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