⑨美 소비자들, 경기 악화에
Page Info
작성자 oreo
Date 25-05-24 15:31
내용
⑨美 소비자들, 경기 악화에 과자 소비 줄여반면 100년 전 대공황 시절은 과자 부흥기지금은 열량만 높은 해로운 간식 취급이지만먹을 게 귀하던 시절엔 빈자 살린 혁신 제품편집자주최초의 과자는 고대 메소포타미아 문명에서 발견됐다고 합니다. 과자는 인간 역사의 매 순간을 함께 해 온 셈이지요. 비스킷, 초콜릿, 아이스크림까지, 우리가 사랑했던 과자들에 얽힌 맛있는 이야기를 전해 드립니다.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집권 후 관세 전쟁을 시작하면서 미국에서는 과자 소비량이 급격히 감소하고 있다. '과자 침체(Snack recession)'라는 신조어까지 나올 정도다. 과자는 한 세기 전 대공황 때에도 굶주린 서민들의 구원투수 역할을 하며 소비가 잘 되던 품목이었다. 1930년대 대공황 시기 국가 간 무역을 더 위축시켰던 스무트-홀리 관세법과 2025년 트럼프발 관세 전쟁이 경기불황이라는 비슷한 경제 상황을 만들고 있지만, 과자 산업에서는 희비가 극명히 갈린 셈이다."생필품 빼고 다 줄인다" 초유의 과자 침체픽사베이트럼프 대통령이 관세 전쟁을 시작하면서 수입품 가격이 오를 것을 우려한 소비자들이 먼저 줄인 것은 과자 등 간식류다. 시리얼 기업 제너럴 밀스, 음료 및 과자 제조사 펩시, 통조림 수프로 유명한 캠벨 모두 일제히 1분기 판매량이 감소했다고 밝혔다. 시장조사업체 NIQ가 최근 미 소비자 1000명을 대상으로 진행한 설문조사에서는 응답자의 42%가 "물가 상승으로 간식 구매를 줄였다"고 답했다.통상 과자는 다른 식품보다 저렴하면서도 강렬한 맛을 주기 때문에, 불황일수록 더 많이 찾는 '위안의 음식(Comfort food)'로 취급됐지만, 지금은 가장 먼저 소비를 줄이는 품목으로 자리 잡았다. 유용한 영양소 없이 그저 열량만 높다는 간식에 대한 이미지 때문에 소비 우선순위에서 필수 식료품에 밀린 것이다.CNN, CNBC 등 미 언론에서는 이 현상을 "과자 침체"라고 부르고 있다. 미 NBC 지역 방송인 WKYC 채널3에서도 "미국인들이 사소한 사치조차 감당할 수 없게 됐다는 신호"라며 "장바구니에서 달고 짠 간식을 덜어내고 필수 식료품을 선택했다"고 설명하기도 했다.지금은 간식이지만…대공황 땐 달랐던 과자 위상대공황 당시 레시피를 재현한 '절망의 파이'. 파이 속을 구할 돈이 ⑨美 소비자들, 경기 악화에 과자 소비 줄여반면 100년 전 대공황 시절은 과자 부흥기지금은 열량만 높은 해로운 간식 취급이지만먹을 게 귀하던 시절엔 빈자 살린 혁신 제품편집자주최초의 과자는 고대 메소포타미아 문명에서 발견됐다고 합니다. 과자는 인간 역사의 매 순간을 함께 해 온 셈이지요. 비스킷, 초콜릿, 아이스크림까지, 우리가 사랑했던 과자들에 얽힌 맛있는 이야기를 전해 드립니다.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집권 후 관세 전쟁을 시작하면서 미국에서는 과자 소비량이 급격히 감소하고 있다. '과자 침체(Snack recession)'라는 신조어까지 나올 정도다. 과자는 한 세기 전 대공황 때에도 굶주린 서민들의 구원투수 역할을 하며 소비가 잘 되던 품목이었다. 1930년대 대공황 시기 국가 간 무역을 더 위축시켰던 스무트-홀리 관세법과 2025년 트럼프발 관세 전쟁이 경기불황이라는 비슷한 경제 상황을 만들고 있지만, 과자 산업에서는 희비가 극명히 갈린 셈이다."생필품 빼고 다 줄인다" 초유의 과자 침체픽사베이트럼프 대통령이 관세 전쟁을 시작하면서 수입품 가격이 오를 것을 우려한 소비자들이 먼저 줄인 것은 과자 등 간식류다. 시리얼 기업 제너럴 밀스, 음료 및 과자 제조사 펩시, 통조림 수프로 유명한 캠벨 모두 일제히 1분기 판매량이 감소했다고 밝혔다. 시장조사업체 NIQ가 최근 미 소비자 1000명을 대상으로 진행한 설문조사에서는 응답자의 42%가 "물가 상승으로 간식 구매를 줄였다"고 답했다.통상 과자는 다른 식품보다 저렴하면서도 강렬한 맛을 주기 때문에, 불황일수록 더 많이 찾는 '위안의 음식(Comfort food)'로 취급됐지만, 지금은 가장 먼저 소비를 줄이는 품목으로 자리 잡았다. 유용한 영양소 없이 그저 열량만 높다는 간식에 대한 이미지 때문에 소비 우선순위에서 필수 식료품에 밀린 것이다.CNN, CNBC 등 미 언론에서는 이 현상을 "과자 침체"라고 부르고 있다. 미 NBC 지역 방송인 WKYC 채널3에서도 "미국인들이 사소한 사치조차 감당할 수 없게 됐다는 신호"라며 "장바구니에서 달고 짠 간식을 덜어내고 필수 식료품을 선택했다"고 설명하기도 했다.지금은 간식이지만…대공황 땐 달랐던 과자 위상대공황 당시 레시피를 재현한 '절망의 파이'. 파이 속을 구할 돈이 없어 비스킷, 크래커를 빻아 넣었다. 美 커뮤니티 '레딧' 캡처소비자들이 과자 소비를 줄이고 있는 것은 미국이 최대 경제 위기를 겪었던 1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