예약
Open greetings
Open greetings 축하 메시지

2028년 6G 시범서비스 목표…후방생태계 지원 고무

Page Info

작성자 afht43oso Date 25-06-09 07:58

내용

2028년 6G 시범서비스 목표…후방생태계 지원 고무적[디지털데일리 강소현기자] 이재명 정부가 6G 시대에 대비한 차세대 네트워크 핵심기술 확보를 공약으로 담아 눈길을 끈다.그간 국내 통신정책은 가계통신비 인하에만 집중하며 통신산업 성장모멘텀 발굴에 부진했다는 평가는 받은 가운데, 새 정부에선 챗GPT로 촉발된 생성형 인공지능(AI) 열풍 속 ‘AI 네트워크’ 구현을 위한 정부 차원의 선제적 지원체계가 마련될 것으로 기대된다.다만, 현재 국내 5세대이동통신(5G) 네트워크는 비(非)단독모드(NSA·Non-Stand Alone) 아키텍처에 의존하고 있어 6G 전환의 걸림돌로 지적된다. 위성에서도 네트워크 슬라이싱(Network-Slicing) 등 5G 단독모드(SA·Stand Alone) 기반의 기술들이 활용되기 때문이다.이에 전문가들은 6G를 논하기에 앞서, LTE 재할당 등 막대한 비용 지출이 예고된 상황 속 통신사들이 5G의 잠재력을 충분히 활용할 수 있도록 정부가 촉진시키는 것이 선결 과제라고 지적한다.◆ "6G=AI 네트워크"…미래지향적 네트워크 정책 설계한다4일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열린 제21대 대통령 취임선서식에서 취임 선서를 하는 이재명 대통령 [ⓒ연합뉴스]오는 2030년 6G 상용화가 예상됨에 따라, 새 정부 차원의 대응도 본격화될 전망이다.6G 로드맵은 이번 공약집에서도 간략하게 제시됐다. 이재명 대통령은 오는 2030년 6G 상용화가 예상됨에 따라 2028년 6G 시범서비스에 돌입하겠다는 구상이다.공약집에서 특히 주목할 부분은, 6G를 ‘AI 네트워크’로 정의하고 있다는 점이다. 네트워크가 AI의 핵심 인프라로 부상한 가운데 정부가 AI 기반 네트워크 혁신을 위한 미래지향적 정책을 펼치겠다는 의지로 풀이된다.실제 글로벌 이동통신 표준개발기구인 3GPP에선 최근 6G에서 예상되는 AI의 역할을 크게 두가지 방향에서 논의됐다. AI를 활용해 네트워크 운영에서 성능 및 관리를 개선하거나, AI 기반 애플리케이션을 지원하기 위한 6G 네트워크 설계 방안이다.즉, 6G2028년 6G 시범서비스 목표…후방생태계 지원 고무적[디지털데일리 강소현기자] 이재명 정부가 6G 시대에 대비한 차세대 네트워크 핵심기술 확보를 공약으로 담아 눈길을 끈다.그간 국내 통신정책은 가계통신비 인하에만 집중하며 통신산업 성장모멘텀 발굴에 부진했다는 평가는 받은 가운데, 새 정부에선 챗GPT로 촉발된 생성형 인공지능(AI) 열풍 속 ‘AI 네트워크’ 구현을 위한 정부 차원의 선제적 지원체계가 마련될 것으로 기대된다.다만, 현재 국내 5세대이동통신(5G) 네트워크는 비(非)단독모드(NSA·Non-Stand Alone) 아키텍처에 의존하고 있어 6G 전환의 걸림돌로 지적된다. 위성에서도 네트워크 슬라이싱(Network-Slicing) 등 5G 단독모드(SA·Stand Alone) 기반의 기술들이 활용되기 때문이다.이에 전문가들은 6G를 논하기에 앞서, LTE 재할당 등 막대한 비용 지출이 예고된 상황 속 통신사들이 5G의 잠재력을 충분히 활용할 수 있도록 정부가 촉진시키는 것이 선결 과제라고 지적한다.◆ "6G=AI 네트워크"…미래지향적 네트워크 정책 설계한다4일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열린 제21대 대통령 취임선서식에서 취임 선서를 하는 이재명 대통령 [ⓒ연합뉴스]오는 2030년 6G 상용화가 예상됨에 따라, 새 정부 차원의 대응도 본격화될 전망이다.6G 로드맵은 이번 공약집에서도 간략하게 제시됐다. 이재명 대통령은 오는 2030년 6G 상용화가 예상됨에 따라 2028년 6G 시범서비스에 돌입하겠다는 구상이다.공약집에서 특히 주목할 부분은, 6G를 ‘AI 네트워크’로 정의하고 있다는 점이다. 네트워크가 AI의 핵심 인프라로 부상한 가운데 정부가 AI 기반 네트워크 혁신을 위한 미래지향적 정책을 펼치겠다는 의지로 풀이된다.실제 글로벌 이동통신 표준개발기구인 3GPP에선 최근 6G에서 예상되는 AI의 역할을 크게 두가지 방향에서 논의됐다. AI를 활용해 네트워크 운영에서 성능 및 관리를 개선하거나, AI 기반 애플리케이션을 지원하기 위한 6G 네트워크 설계 방안이다.즉, 6G와 AI가 서로의 성장에 필요한 핵심요소가 될 것으로 전망되는 가운데, 새 정부가 기존 정책기조의 전환점을 마련할지 주목되는 상황이다.김동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