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탈탄소 선도국가, 영국을 보다①]영국, 2024년 석탄발전 종식…한국, 석탄발전 비중 29.4%'영국 탈석탄의 배경'은 해상풍력 발전중심의 에너지 전환신재생에너지의 장점은 에너지 안보 확보와 유연한 'RE100' 대응영국보다 앞서 신재생에너지 발전사업 보급 추진했지만 결과는 실패편집자 주탈탄소와 해상풍력을 비롯한 재생에너지 발전사업 확대는 이제 거스를 수 없는 현실이다. 최근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 등 급변하는 세계 정세는 석탄, 석유, 가스, 원자력 등 주요 전력 생산 원료들의 가격 변동에 영향을 미치며 에너지 안보 위기를 키우고 있다. CBS노컷뉴스는 3차례에 걸쳐 탈탄소화와 해상풍력 발전사업 선도국가인 영국의 사례를 통해 우리나라의 보급 확대 방안을 탐구한다.제주한림해상풍력 모습. 제주한림해상풍력(주) 제공▶ 글 싣는 순서① 탈석탄 성공한 '영국' VS OECD 재생에너지 발전 꼴찌 '한국'(계속)"비슷한 시기에 신재생에너지 발전사업을 확대하겠다고 발표했지만 한국은 그렇지 못했고, 영국은 성공했다."기후변화 대응을 위한 재생에너지 정책을 연구하고 있는 글로벌 비영리 단체 '오션에너지패스웨이(Ocean Energy Pathway)' 장다울 한국 대표는 우리나라가 기후 위기에 대응하고 국제 산업 표준에 발맞추기 위해서는 신재생에너지 발전사업의 확대가 핵심 과제라고 피력했다. 장 대표는 과거 산업통상자원부 신재생시장위원회 위원과 환경부 중앙환경정책위원회 위원을 지냈다.영국, 2024년 석탄발전 종식…한국, 석탄발전 비중 29.4%2024년은 전력발전 사업 역사에 있어 한국과 영국에게 중요한 해였다.2일 전력거래소에 따르면 지난해 우리나라의 발전원별 전력 거래량은 원자력이 32.5%를 차지해 가장 많았고 LNG(29.8%), 석탄(29.4%), 신재생(6.9%) 등이 뒤를 이었다. 원자력이 국내 발전 비중 1위를 차지한 건 2006년 이후 18년 만이다.2007~2023년 우리나라 최대 발전원은 석탄이었다. 같은 화력발전이지만 석탄보다 탄소 배출이 적은 LNG 발전도 지난해 29.8%를 기록하면서 사상 처음으로 석탄 발전 비중을[탈탄소 선도국가, 영국을 보다①]영국, 2024년 석탄발전 종식…한국, 석탄발전 비중 29.4%'영국 탈석탄의 배경'은 해상풍력 발전중심의 에너지 전환신재생에너지의 장점은 에너지 안보 확보와 유연한 'RE100' 대응영국보다 앞서 신재생에너지 발전사업 보급 추진했지만 결과는 실패편집자 주탈탄소와 해상풍력을 비롯한 재생에너지 발전사업 확대는 이제 거스를 수 없는 현실이다. 최근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 등 급변하는 세계 정세는 석탄, 석유, 가스, 원자력 등 주요 전력 생산 원료들의 가격 변동에 영향을 미치며 에너지 안보 위기를 키우고 있다. CBS노컷뉴스는 3차례에 걸쳐 탈탄소화와 해상풍력 발전사업 선도국가인 영국의 사례를 통해 우리나라의 보급 확대 방안을 탐구한다.제주한림해상풍력 모습. 제주한림해상풍력(주) 제공▶ 글 싣는 순서① 탈석탄 성공한 '영국' VS OECD 재생에너지 발전 꼴찌 '한국'(계속)"비슷한 시기에 신재생에너지 발전사업을 확대하겠다고 발표했지만 한국은 그렇지 못했고, 영국은 성공했다."기후변화 대응을 위한 재생에너지 정책을 연구하고 있는 글로벌 비영리 단체 '오션에너지패스웨이(Ocean Energy Pathway)' 장다울 한국 대표는 우리나라가 기후 위기에 대응하고 국제 산업 표준에 발맞추기 위해서는 신재생에너지 발전사업의 확대가 핵심 과제라고 피력했다. 장 대표는 과거 산업통상자원부 신재생시장위원회 위원과 환경부 중앙환경정책위원회 위원을 지냈다.영국, 2024년 석탄발전 종식…한국, 석탄발전 비중 29.4%2024년은 전력발전 사업 역사에 있어 한국과 영국에게 중요한 해였다.2일 전력거래소에 따르면 지난해 우리나라의 발전원별 전력 거래량은 원자력이 32.5%를 차지해 가장 많았고 LNG(29.8%), 석탄(29.4%), 신재생(6.9%) 등이 뒤를 이었다. 원자력이 국내 발전 비중 1위를 차지한 건 2006년 이후 18년 만이다.2007~2023년 우리나라 최대 발전원은 석탄이었다. 같은 화력발전이지만 석탄보다 탄소 배출이 적은 LNG 발전도 지난해 29.8%를 기록하면서 사상 처음으로 석탄 발전 비중을 앞질렀다. 탄소중립 차원에서 석탄 발전을 억제하려는 정부의 노력에도 불구하고 우리나라의 석탄 발전 비중은 여전히 높은 편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