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르세유=AP/뉴시스] 8
[마르세유=AP/뉴시스] 8일(현지 시간) 프랑스 남부 마르세유 인근에서 한 소방관이 산불 진화 작업을 벌이고 있다. 산불이 확산하면서 마르세유 공항과 철도 운행이 중단됐으며 프랑스 기상청은 인근 지역에 적색경보를 발령했다. 2025.07.09. [서울=뉴시스]김윤혁 인턴 기자 = 최근 프랑스 등 유럽 전역에 폭염이 이어지는 가운데 건조한 기후로 인한 대형 산불까지 발생하면서 주민들의 고통이 커지고 있다.9일(현지시간) 르몽드, 가디언 등 외신에 따르면 전날 프랑스 부슈뒤론 데파르트망(지방자치단체)의 펜 미라보에서는 대형 산불이 발생했다.불길은 프랑스 제2의 도시인 마르세유까지 번졌으며, 이로 인해 마르세유 공항의 출발·도착 항공편과 파리-마르세유 간 철도 운행이 중단됐다. 프랑스 기상청은 바, 부슈뒤론, 보클뤼즈 등 3개 데파르트망에 최고 단계 경보를 발령하며 "지시가 없는 한 외출하지 말고 실내에 머물라"고 권고했다.보도에 따르면 이번 화재로 750헥타르(ha)의 땅이 불탔으며 주택 70채 이상이 피해를 입었다. 700명 이상의 소방대원과 220대의 긴급 차량, 헬리콥터·항공기 등이 투입돼 진화 작업이 이어지고 있다고 한다.하루 앞서 오드 지역에서도 대형 산불이 발생해 삼림 2000ha가 불에 타고 주민 4000여명이 대피 명령을 받았다.스페인 역시 산불로 몸살을 앓고 있다.카탈루냐 지방의 타라고나 인근에서 시작된 산불로 현재까지 6000ha가 넘는 산림이 파괴됐으며, 연기 확산 우려로 인해 인근 12개 마을 주민 1만8000여명에게는 실내 대피령이 내려진 것으로 전해졌다.기후 데이터를 분석하는 딥스카이리서치의 과학자 맥스 듀건 나이트는 "산불과 기후 변화 사이에 분명한 연관성이 있다"고 주장했다.그는 "프랑스와 유럽 전역에서 건조하고 더운 바람이 많이 불기 때문에 아주 작은 불쏘시개도 빠르게 퍼져 심각한 피해를 입힐 수 있다"면서 "지난 1월 로스앤젤레스에서 강풍이 불길을 일으켜 대규모 화재를 일으킨 것처럼 프랑스와 스페인 역시 바람이 화재가 확산되고 있는 것"이라고 설명했다.유럽경제지역(EEA)는 "강력한 기후 대응 조치가 없다면 앞으로도 수십만명의 사람들이 폭염으로 사망할 것"이라며 "극단적인 지구 온난화 시나리오에는 홍수로 인한 경제적 손실이 연간 1조유로(약 1609조원)를 넘을 것이라는 연구 결과도 있다"고 발표한 바 있다.공감언론 뉴시스 kimy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한국에 부과한 상호관세(25%) 발효가 20일 앞으로 다가온 가운데 대통령실이 한미 관세협상 돌파구를 찾기 위한 본격적인 ‘안보 패키지’ 조합을 검토하고 나섰다. 미국산(産) 쌀과 소고기 수입 확대 등 미국의 비관세장벽 완화 요구를 수용하기 어렵다는 판단에 따라 그동안 미국이 요구해 왔던 한미 동맹 현대화 기조에 맞춰 국방비 증액 등이 담긴 전향적 대미 패키지를 마련하겠다는 것이다. 다만 여권 고위 관계자는 “일방적으로 줄 수만은 없다. 서로 이익의 균형을 맞춰야 한다”며 한미 간 줄다리기를 예고했다. ● 나토 수준(3.5%) 국방비 증액안도 검토대통령실은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의 관세 서한을 받은 뒤 내부적으로 기존 대미 패키지에 국한된 협상으로는 유예 기간 내 관세협상에서 지금보다 진전을 보기 어렵다고 판단한 것으로 알려졌다. 여권 고위 관계자는 “미국은 비관세장벽을 중심으로 관세 재부과를 판단하겠다는 것”이라며 “그래서 (안보 분야를 연계한) 다른 관점을 미국에 제시했다”고 전했다. 방미 일정을 마치고 9일 귀국한 위성락 국가안보실장이 브리핑에서 “동맹의 ‘엔드 스테이트(end state·최종 상태)’까지 시야에 놓고 협상하는 게 적절하지 않겠냐”고 언급한 것도 같은 맥락이라는 분석이다.미국은 우리 정부와의 관세협상에서 미국산 쌀, 소고기 수입 제한 완화, 정밀 지도 데이터 반출 등 농산물·디지털 분야 비관세장벽을 집중 공략해 왔다. 정부는 미중 경쟁과 밀접하게 연계돼 있는 조선 분야 협력을 비롯해 액화천연가스(LNG) 투자 등 패키지 제안으로 이 같은 요구를 상쇄하고 비관세장벽 분야는 국내 정치적 논란 등 민감성을 최대한 고려해야 한다는 입장으로 대응해 왔다. 정부 소식통은 “비관세장벽은 결국 정치적 결단이 필요한 영역”이라며 “섣불리 수용하면 정권이 흔들릴 수 있다는 우려가 있다”고 했다. 일단 대통령실과 관계 부처는 안보 패키지의 가장 큰 현안인 국방비 증액과 관련해 대국민 설득이 가능한 증액 규모를 들여다보고 있다. 특히 미국이 북대서양조약기구(NATO·나토) 회원국들에
[마르세유=AP/뉴시스]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