당 망친 '8대 사건' 꼽고 관련자
당 망친 '8대 사건' 꼽고 관련자 사과 요구친윤계부터 한동훈·김문수 전방위 겨냥'8월 전당대회 뒤 유명무실' 평가 싸늘윤희숙 국민의힘 혁신위원장이 13일 서울 여의도 국민의힘 당사에서 기자간담회를 열고 인적쇄신안을 발표하고 있다. 고영권 기자윤희숙 국민의힘 혁신위원장이 인적 쇄신 첫 단추로 계파를 불문한 '공개 사과'를 촉구했다. "사과가 필요 없다는 사람이 인적 쇄신 0순위"라며 윤석열 절연론에 소극적인 친윤석열(친윤)계를 정조준했지만, 한동훈 전 대표와 김문수 전 고용노동부 장관 등 주요 인사도 쇄신 대상에 포함시켰다. 불법 계엄과 탄핵, 대선 패배를 자초한 국민의힘 전체를 향해 전방위 책임론을 들고 나온 것이다. 그러나 강제적 조치가 수반되지 않은 자체 사과 요구에 실효성이 떨어진다는 지적도 나온다. 당장 친윤계는 "특정 계파를 몰아내는 건 필패", "인적 청산은 거꾸로 가는 일"(송언석 비상대책위원장 겸 원내대표)이라며 꿈쩍도 않는 분위기다. 나경원 장동혁 겨냥 "인적쇄신 0순위"나경원 국민의힘 의원이 11일 국회 의원회관에서 해병대 채모 상병 순직 사건 및 수사외압 의혹을 수사하는 이명현 특별검사팀이 임종득 국민의힘 의원 사무실을 압수수색하는 데 항의한 뒤 이동하고 있다. 뉴스1윤희숙 혁신위가 13일 띄운 인적 쇄신 조치의 첫 단계는 '자체 사과' 요구였다. 특히 친윤계를 직격했는데 "더 이상 사과와 반성할 필요가 없다고 하는 분들은 당을 죽는 길로 밀어 넣는 것"이라고 날을 세웠다. 이를 두고 '윤석열 절연론'을 당헌에 새기겠다는 1차 혁신안에 반발한 친윤계 당권주자 나경원, 장동혁 의원을 겨냥했다는 해석이 나왔다. 윤 위원장은 '사과 무용론'을 제기하는 친윤계를 향해 "전광훈 목사가 광장에 던져주는 표에 기대 정치하는 분들은 당을 떠나야 한다"고 출당 조치까지 거론했다. 쇄신 대상은 전방위로 넓혔다. 혁신위는 국민의힘을 좌초 직전으로 몰고 간 이른바 '8대 사건' 관련자들도 사과에 나서라고 촉구했다. ▲6·3 대선 패배 ▲대선 후보 교체 시도 ▲대선 후보의 단일화 입장 번복 ▲불법 계엄 직후 의원들의 대통령 당 망친 '8대 사건' 꼽고 관련자 사과 요구친윤계부터 한동훈·김문수 전방위 겨냥'8월 전당대회 뒤 유명무실' 평가 싸늘윤희숙 국민의힘 혁신위원장이 13일 서울 여의도 국민의힘 당사에서 기자간담회를 열고 인적쇄신안을 발표하고 있다. 고영권 기자윤희숙 국민의힘 혁신위원장이 인적 쇄신 첫 단추로 계파를 불문한 '공개 사과'를 촉구했다. "사과가 필요 없다는 사람이 인적 쇄신 0순위"라며 윤석열 절연론에 소극적인 친윤석열(친윤)계를 정조준했지만, 한동훈 전 대표와 김문수 전 고용노동부 장관 등 주요 인사도 쇄신 대상에 포함시켰다. 불법 계엄과 탄핵, 대선 패배를 자초한 국민의힘 전체를 향해 전방위 책임론을 들고 나온 것이다. 그러나 강제적 조치가 수반되지 않은 자체 사과 요구에 실효성이 떨어진다는 지적도 나온다. 당장 친윤계는 "특정 계파를 몰아내는 건 필패", "인적 청산은 거꾸로 가는 일"(송언석 비상대책위원장 겸 원내대표)이라며 꿈쩍도 않는 분위기다. 나경원 장동혁 겨냥 "인적쇄신 0순위"나경원 국민의힘 의원이 11일 국회 의원회관에서 해병대 채모 상병 순직 사건 및 수사외압 의혹을 수사하는 이명현 특별검사팀이 임종득 국민의힘 의원 사무실을 압수수색하는 데 항의한 뒤 이동하고 있다. 뉴스1윤희숙 혁신위가 13일 띄운 인적 쇄신 조치의 첫 단계는 '자체 사과' 요구였다. 특히 친윤계를 직격했는데 "더 이상 사과와 반성할 필요가 없다고 하는 분들은 당을 죽는 길로 밀어 넣는 것"이라고 날을 세웠다. 이를 두고 '윤석열 절연론'을 당헌에 새기겠다는 1차 혁신안에 반발한 친윤계 당권주자 나경원, 장동혁 의원을 겨냥했다는 해석이 나왔다. 윤 위원장은 '사과 무용론'을 제기하는 친윤계를 향해 "전광훈 목사가 광장에 던져주는 표에 기대 정치하는 분들은 당을 떠나야 한다"고 출당 조치까지 거론했다. 쇄신 대상은 전방위로 넓혔다. 혁신위는 국민의힘을 좌초 직전으로 몰고 간 이른바 '8대 사건' 관련자들도 사과에 나서라고 촉구했다. ▲6·3 대선 패배 ▲대선 후보 교체 시도 ▲대선 후보의 단일화 입장 번복 ▲불법 계엄 직후 의원들의 대통령 관저 앞 방탄 집회 ▲당 대표
당 망친 '8대 사건' 꼽고 관련자